맨위로가기

순치 방출 마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치 방출 마찰음은 혀와 입술, 이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자음이다. 조음 위치는 아랫입술과 윗니이며,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고, 입으로만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며, 성문을 닫아 가둔 공기를 이용하는 방출음이다. 북서캅카스어, 오세아니아어, 촌탈어 등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치음 - 무성 순치 마찰음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 마찰로 나는 무성음인 무성 순치 마찰음은 영어 'f' 소리에서 볼 수 있으며, 식습관 변화와 저작력 감소가 확산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있다.
  • 순치음 - 유성 순치 마찰음
    유성 순치 마찰음은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의 마찰로 생성되는 유성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지만 한국어에서는 외래어 표기 시에 주로 사용된다.
  • 방출음 - 양순 방출음
    양순 방출음은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여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내는 무성 구강 방출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드물게 나타난다.
  • 방출음 - 치경 방출 마찰음
    치경 방출 마찰음은 혀끝과 윗니 뒤쪽 잇몸 사이에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무성음으로,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출음의 특징을 가지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 마찰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는 /z/이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순치 방출 마찰음
음성학 정보
IPA 기호
X-SAMPAf_>
설명순치 방출 마찰음

2. 특징

순치 방출 마찰음은 조음 방식자음으로, 혀와 입술, 이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켜 소리를 낸다. 아랫입술과 윗니를 이용하여 조음하며, 무성음이기에 성대가 울리지 않는다. 구강음으로 입으로만 공기가 나오며, 방출음이기에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아닌, 성문을 닫아 가둔 공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낸다.

2. 1. 조음 방법

혀와 입술, 이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켜 소리를 낸다.

2. 2. 조음 위치

아랫입술과 윗니를 이용하여 조음한다.

2. 3. 성대 울림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2. 4. 구강음/비강음

입으로만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다.

2. 5. 방출

순치 방출 마찰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아닌, 성문을 닫아 가둔 공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방출음이다.

3. 사용 예시

순치 방출 마찰음은 매우 드물게 사용되는 소리이다.

계열언어단어IPA의미비고
북서캅카스어압하스어[afʼa]'얇은'일부 화자만 [afʼa]로 발음하고, 대부분 [apʼa]로 발음하는 단어에서만 발견된다.[1]
촌탈어고지 오아하카 촌탈어'ɫofaneh''[ɬofʼaneʔ]'옥수수 속대'
북서캅카스어카바르딘어 / / [fʼət͡sʼa]'검은'아디게어의 [ʃʷʼ]에 해당한다.[2]
오세아니아어야프어[3]'faang''[fʼaːŋ]'뱀장어의 종류'


3. 1. 캅카스 제어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압하스어апа[afʼa]'얇은'일부 화자만 [afʼa]로 발음하고, 대부분 [apʼa]로 발음하는 단어에서만 발견된다.[1]
카바르딘어фӏыцӏэ[fʼət͡sʼa]'검은'아디게어의 [ʃʷʼ]에 해당한다.[2]


3. 2. 오세아니아어족

야프어[3]의 ''f'aang''은 [fʼaːŋ]로 소리나며, '뱀장어의 종류'를 뜻한다.

3. 3. 촌탈어족

ɫof'aneh|고지 오아하카 촌탈어es ([ɬofʼaneʔ])는 '옥수수 속대'를 의미한다.

참조

[1] 서적 Abkhaz Croom Helm Descriptive Grammars 1989
[2] 서적 A Grammar of the Kabardian Language 1992
[3] 학위논문 Textual Structure and Discourse Prominence in Yapese Narrative University of Hawai'i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